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

[Python] postech - Python 프로그래밍 II 7-8주차

* 리스트(List)

- 여러 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

리스트이름 = [1, 2, 3]

- 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이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

-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를 하나의 리스트 이름으로 관리 가능

- 여러 정보를 하나로 묶어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구조

- 문자열을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

-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예제

- Empty list

 

<리스트 원소에 접근하기>

- 인덱스 : 원소가 배열된 순서를 나타냄. (0번부터 시작)

- 인덱스를 이용하여 원소에 접근할 수 있음

 

<리스트와 연산자>

- in : listelement 인가를 결정하는 연산자

- not in : listelement가 아닌 element를 결정하는 연산자

 

*****리스트 사용 가능 함수*****

append() : 리스트 제일 뒤에 항목을 추가한다. 리스트이름.append()

pop() : 리스트 제일 뒤의 항목을 빼내고, 빼낸 항목은 삭제한다. 리스트이름.pop()

sort() : 리스트의 항목을 정렬한다. 리스트이름.sort()

reverse() : 리스트 항목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. 리스트이름.reverse()

index() : 지정한 값을 찾아서 그 위치를 반환한다. 리스트이름.index(찾을 값)

insert() : 지정된 위치에 값을 삽입한다. 리스트이름.insert(위치, )

remove() : 리스트에서 지정한 값을 제거한다. 단 지정한 값이 여러 개일 경우 첫 번째 값만 지운다.

리스트이름.remove(지울 값)

extend() : 리스트 뒤에 리스트를 추가한다. 리스트의 더하기(+) 연산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. 리스트이름.extend(리스트)

count() : 리스트에서 찾을 값의 개수를 센다. 리스트이름.count(찾을 값)

del() : 리스트에서 해당 위치의 항목을 삭제한다. del(리스트이름[위치])

len() : 리스트에 포함된 전체 항목의 개수를 센다. len(리스트이름)

 

* 데이터 구조

- 프로그램에서 자료들을 저장하는 여러 가지 구조들이 있다. 이를 자료 구조(data structure)라 부른다.

- 파이썬에는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문자열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.

 

* 튜플(tuple)

- 변경될 수 없는 리스트

- 튜플은 값을 변경할 수 없음 (TypeError: ‘tuple’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)

- 더하기(+) 연산자는 사용 가능

튜플 = (항목1, 항목2, .... 항목n)

 

* 딕셔너리

- 키(key)와 값(value)의 쌍을 저장할 수 있는 객체

딕셔너리 = {1:1, 2:2, 3:3,....}

딕셔너리[‘’] ->

딕셔너리.get(‘’) ->

 

* 문자열

- 문자들의 시퀀스로 정의

- 글자들이 실(string)로 묶여 있는 것이 문자열

 


 

<Object Detection>

- 이미지나 동영상에서 사람, 동물, 차량 등 의미 있는 객체(object)의 종류와 그 위치(bounding box)를 정확하게 찾기 위한 computer vision 기술.

- 영상에서 관심 대상을 인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검출 대상에 대한 후보 영역을 찾고 그 후보 영역에 대한 객체의 종류와 위치를 학습된 모델을 통해 예측

- 이 과정을 위해서 영상 및 영상 내의 객체 종류(class)와 객체 위치 정보가 필요

- 얼굴, 도로상의 보행자 및 차량 등의 인식에 딥러닝(deep learning) 기반의 객체 탐지 기술이 많이 이용

 

# 8강을 듣고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해서 깊게 파고들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. 중요한 것은 내가 이 분야에 또 다른 흥미를 느꼈다는 것이다.